[대한경제] [2025 도시와공간] 李 “성장전략 대전환”… 주거ㆍ도시ㆍ산업 공간혁신에 뜨거운 관심
“도시의 미래 엿볼수 있어”
“韓ㆍ日 도시개발 교류의 장”
온라인 중계 열기도 뜨거워
성일종 의원 “천년의 도시 설계
공간 재구조화 치열한 고민 필요”
![]() |
1일 서울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5 도시와 공간 포럼’ 참석자들이 일본을 대표하는 디벨로퍼인 모리빌딩의 아라이 아키쿠니 집행임원 겸 설계본부장의 강연을 듣고 있다. 안윤수 기자 ays77@ |
[대한경제=이승윤ㆍ김관주 기자] 1일 <대한경제>가 개최한 ‘2025 도시와 공간 포럼’이 열린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은 행사 시작 1시간 전인 오전 8시부터 각계각층의 인사들로 성황을 이뤘다.
올해 포럼 주제는 한ㆍ일 수교 60주년을 기념한 ‘도시혁신, 서울과 도쿄의 대화’로 정해졌고, ‘지상ㆍ지하ㆍ공중을 연결한 수직입체 도시’라는 화두는 큰 관심을 모았다.
현장에는 정ㆍ재계 인사를 포함해 역대 최대 규모인 1000여명이 참석해 약 700명을 수용하는 건설회관 CG홀은 참석자들로 가득 찼고, 온라인 중계를 위한 공간을 따로 마련해야 할 정도였다.
이른 시간 행사에 앞서 진행된 VIP 환담에서는 이날 포럼을 두고 이야기꽃이 피었다.
이충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원장은 “도시 공간은 국민 생활의 전부로, 도시 공간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따라 국민의 편의와 삶의 질이 결정되며, 나아가 국가의 경쟁력으로도 이어진다”며 “이번 포럼은 단순한 세미나가 아닌 실질적인 도시 공간 속에서 국민 삶과 산업 경쟁력, 우리 사회의 미래를 논의하는 자리인 만큼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이선경 대한건축사협회 부회장도 “한ㆍ중ㆍ일 건축사협의회가 매년 개최되고 있는데, 내년에는 우리나라에서 열릴 예정”이라며, “아시아 각국의 다양한 건축적 특징을 접할 수 있을 것 같아 기대된다”고 했다.
특히 이날 포럼에서는 일본을 대표하는 디벨로퍼인 모리빌딩의 아라이 아키쿠니 집행임원 겸 설계본부장이 기조 강연에 나선 만큼 참석자들은 ‘닮은 듯 다른’ 한ㆍ일 양국의 도시개발 전략에 대한 차이점부터 우리 도시개발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의견 교환도 뜨거웠다.
한영근 한국건축사협회 회장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최근 ‘K-건축문화 종합지원계획’을 발표했는데, 한국 건축계에 있어 역사적인 선언”이라며 “이번 발표를 계기로 우리나라 건축의 질적 향상이 이뤄져 건축이 문화예술로 자리매김하는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손창규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도 “서울에서도 도시 재생과 친환경 요소를 고려한 리모델링 등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데, 현실적으로 일본은 우리에게 가장 가까운 벤치마킹 대상”이라며 “이런 과정을 통해 업계에 관심 있는 분들이 함께 모여 인사이트를 나누고 의미 있는 교류의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건설 현안에 대한 고민도 공유했다.
이해경 한국엔지니어링협회 회장은 “반도체 등 여러 분야에서 이미 중국에 뒤처지고 있는 상황에서 건설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라며 “첨단 건설 분야에서는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정렬 반도건설 시공부문 대표는 “설계 과정에서 현실과 맞지 않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어 참고할 만한 사례를 찾고자 포럼에 참석했다”며 “건축가는 이상을 추구하지만 건설사는 현실을 쫓게 되는데, 시공 과정에서 ‘죽은 공간’이 생길 때마다 매우 안타깝다”고 했다.
개회식에서는 포럼을 응원하기 위한 주요 인사들의 축사가 이어지며 시선을 집중시켰다.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은 “천년의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치밀한 고민이 필요하고, 사람을 위한 공간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다”며 “대한민국이 세계와 경쟁하는 멋진 도시를 설계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같은 당 송석준 의원도 “<대한경제>, 대한민국 건설인과 함께 역사의 격동 속에서도 우리나라가 더욱 살기 좋은 공간으로, 세계를 이끌어가는 도시로 발전해 더 좋은 내일이 올 것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주호영 국회부의장을 비롯해 민주당 김병기ㆍ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와 맹성규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은 영상을 통해 축사를 전했다.
이상주 국토교통부 국토도시실장도 축사를 통해 “건물을 하나 더 짓는 것 보다 있는 공간을 어떻게 새롭게 쓰고 연결할 것인가가 도시의 품격을 좌우하는 시대”라며 “공간을 입체적이고 융합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과감한 혁신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윤ㆍ김관주 기자 lees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출처] 대한경제 -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507011401527740006
#도시지역혁신 #도시지역혁신산업박람회 #2025도시지역혁신 #2025도시지역혁신산업박람회 #도시혁신 #지역혁신 #도시산업박람회 #대한민국도시박람회 #2025도시박람회 #대한민국도시산업박람회 #삼척도시박람회 #삼척박람회 #삼척정라지구 #정라지구 #도시재생박람회 #도시재생 #지속가능한도시 #도시의미래 #미래도시 #도시정책 #도시정책박람회 #도시정책공유 #도시기술 #스마트도시 #스마트시티 #스마트도시정책 #스마트기술 #도시산업 #혁신산업 #혁신기술 #혁신도시 #혁신정책 #도시문제해결 #도시문제 #지역활성화 #지역경제 #지역상생 #도시협력 #민관협력 #산학협력 #공공민간협력 #네트워킹 #도시네트워킹 #정책네트워킹 #비즈니스박람회 #도시비즈니스 #산업비즈니스 #기술비즈니스 #도시개발 #도시계획 #도시건축 #도시환경 #도시인프라 #생활SOC #도시데이터 #프롭테크 #프롭테크박람회 #부동산산업 #도시건설 #건설산업 #전문건설 #국토교통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시재생산업진흥협회 #연합뉴스 #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부동산원 #한국프롭테크포럼 #대한전문건설협회 #첨단기술안전점검협회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도시혁신네트워크 #도시혁신사례 #도시혁신기술 #도시혁신정책 #도시혁신트렌드 #도시혁신정보 #국제도시박람회 #도시국제교류 #도시경쟁력 #도시브랜딩 #도시미래전략 #도시연구 #도시전문가 #도시산업혁신 #도시산업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