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 [FOCUS 경기] 광주시 도시재생, 새롭게 태어난 원도심

2025
브로슈어
프리미엄부스
안내서
비품
카달로그
Korea Urban·Regional Innovation Industry EXPO 2025
정보센터
정보센터
홍보자료

[경인일보] [FOCUS 경기] 광주시 도시재생, 새롭게 태어난 원도심

박람회관리자 0 28

주민이 주인 되는 마을 만들기 “우리가 바꾸고, 우리가 가꿔요”

 

경안동 ‘첫 단추’ 혁신 플랫폼 구축·생활SOC 확충

송정동 우전께, 어울림센터에 문화 프로그램 활발

구시청사 ‘복합건축물 대형 프로젝트’ 내달부터 입주

공모사업·축제·교육 등 설계 주민협의체 중심축으로

광주 송정동 우전께 도시재생사업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도시재생 어울림센터. /광주시 제공 광주 송정동 우전께 도시재생사업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도시재생 어울림센터. /광주시 제공

한때는 광주시의 중심지였으나 시간이 지나 노후화된 원도심이 활기를 되찾고 있다.

광주 경안동과 송정동 우전께 그리고 구시청사 일원을 중심으로 진행된 ‘도시재생 뉴딜사업’ 때문이다. 주민 주도의 참여와 혁신적인 공간 조성, 생활 인프라 확충을 통해 광주시 원도심이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어떻게 변화를 이끌었으며 무엇이 달라졌는지 들여다봤다.

/클립아트코리아 

/클립아트코리아

■ 광주 도시재생의 신호탄을 쏘아올린 ‘경안동’

광주시의 도시재생 신호탄을 쏘아올린 곳은 경안동이다. 2018년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후 ‘세대융합형 교육친화공동체 경안마을’이라는 비전을 내걸고 2019년부터 본격적 사업이 추진됐다.

주요 사업은 혁신 플랫폼 구축, 골목상권 활성화, 노후 주거지 재생, 가로공간 정비, 생활환경 개선 등이다. 특히 ‘플랫폼 S(은빛마루)’, ‘플랫폼 YF(경안꿈터)’, ‘플랫폼 A(문화이음터)’ 등 지역 거점시설이 단계적으로 들어섰다. 플랫폼 S는 2020년 12월, 플랫폼 YF는 2022년 6월 각각 준공되어 지역주민의 커뮤니티 공간, 청년 지원, 돌봄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경안동 소규모 체육관, 주차장, 산책로 등 생활SOC(사회간접자본) 확충이 이뤄짐에 따라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 환경을 조성했다. 경안동 도시재생의 특징은 주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활발했다는 점이다. 도시재생대학, 마을해설사 양성, 집수리지원, 마을공동체 공모사업, 마을축제, 집수리·정리수납 교육, 거버넌스 구축, 도시재생포럼 등 주민이 직접 기획하고 실행하는 다양한 사업이 추진됐다. 이를 통해 마을관리협동조합이 설립되는 등 지역공동체의 역량이 크게 강화됐다.

■ 마을의 품격을 높인 ‘송정동 우전께’

 광주 송정동 우전께 도시재생사업 프로그램중 하나인 마을정원만들기를 위해 시민들이 꽃을 고르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 송정동 우전께 도시재생사업 프로그램중 하나인 마을정원만들기를 위해 시민들이 꽃을 고르고 있다. /광주시 제공

송정동 우전께 지역은 2019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선정돼 이듬해부터 변화가 시작됐다.

이곳은 소규모 저층 주거밀집 지역으로 노후화와 기반시설 부족이 심각한 문제였다. 시는 ‘주민이 주인이 되는 마을’을 목표로 송정문화센터, 우전께 도시재생 어울림센터, 소규모 체육관, 안전마을 등 다양한 기반시설 사업을 추진했다. 우전께 도시재생 어울림센터의 경우 지하 2층~지상 3층 규모로 상생협력상가, 공유주방, 노인교실, 작은도서관, 다함께 돌봄센터 등 복합 커뮤니티 시설을 갖췄다.

송정문화센터와 체육관은 주민들의 문화·체육 활동의 중심지로 자리잡았다. 어르신 건강교실, 예술프로그램, 전시회, 마을축제 등 다양한 주민 참여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마을의 활력도 높아졌다. 보행 안전성 강화, 마을 골목길 환경 개선 등 생활환경 개선 사업도 병행됐다. 오는 9월부터는 거점시설 세부공사 등이 완료됨에 따라 어울림센터 내 복지·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예정이다.

■ 열린 마을로 대전환된 ‘송정동 구시청사’

 광주 구시청사 부지 일원을 중심으로 진행중인 도시재생사업의 큰 줄기인 복합건축물 신축. /광주시 제공

광주 구시청사 부지 일원을 중심으로 진행중인 도시재생사업의 큰 줄기인 복합건축물 신축. /광주시 제공

송정동 구시청사 일원은 2019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에 선정돼 2020년부터 ‘열린마을 만들기’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이곳은 원도심의 중심지로 쇠퇴한 상권과 노후 주거지, 부족한 생활 인프라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었다. 이에 재생사업을 통해 시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부상시킨다는 방침이다.

시는 구 시청사 부지와 인근 지역에 복합건축물(지하 2층~지상 14층, 88가구 임대주택·커뮤니티 공간· 헬스케어센터·상생협력상가 등)을 신축하는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2023년 착공했으며 오는 8월부터 다함께 돌봄센터, 노인교실, 상생협력상가, 피트니스센터, 실내놀이터 및 공공임대주택이 입주할 계획이다. 마을주차장, 가로환경 정비, 공동체 활동 공간 등 생활SOC 및 주민참여 사업은 단계적으로 완료됐다. 여기에 주민 역량 강화 프로그램, 청년·노령층 대상 맞춤형 지원 사업, 마을축제, 주민공모사업 등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특별한 변화를 이끌다

광주시 경안동 도시재생프로그램중 하나인 벽화 그리기로 마을이 산뜻해졌다. /광주시 제공 

광주시 경안동 도시재생프로그램중 하나인 벽화 그리기로 마을이 산뜻해졌다. /광주시 제공

광주시 도시재생사업의 가장 큰 특징은 ‘주민 주도’에 있다. 주민들이 단순한 수혜자가 아니라 사업의 기획과 실행,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도시재생대학, 마을공동체 공모사업, 마을축제, 각종 교육과정 등은 주민 스스로 마을의 미래를 설계하고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힘을 길러줬다. 특히 송정동 우전께의 마을관리협동조합, 각 사업지의 주민협의체 등은 사업 종료 후에도 지역 발전의 중심축이 되고 있다.

시 도시재생사업은 단순한 물리적 환경 개선을 넘어 주민의 삶을 바꾸고 지역경제와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끄는 모델로 자리잡고 있다. 주민들은 “생활편의시설로 생활 환경이 개선됐으며 아이와 어르신 등 다양한 계층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공간이 생겨 공동체 활동이 증가할 계기가 됐다”고 말한다.

■ 방세환 광주시장 “마을에 대한 자부심 생긴게 가장 큰 변화”

news-p.v1.20250712.af857cbfaf464aa990eb9dce6d94d767_P1.webp

광주시 인구는 현재 41만명으로, 20년 만에 두 배 넘게 증가했다. 그러나 구도심은 노후화와 상권 침체 등 복합적인 쇠퇴 문제에 직면했고 이를 해결하고자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추진됐다.방세환 광주시장은 “도시재생을 통해 환경도 달라졌지만 주민들이 마을에 자부심을 갖게 된 것이 가장 큰 변화”라며 “깨끗해진 거리, 커뮤니티 공간, 활발한 주민 활동으로 삶의 질이 눈에 띄게 향상됐다.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공간이 생기며 마을 공동체가 살아났다”고 전했다.

이어 “도시재생은 단순한 환경 개선을 넘어 주민이 마을의 미래를 직접 설계하고 실행하는 과정이 돼야 한다”며 주민참여 확대를 핵심으로 꼽았다. 실제로 도시재생대학, 주민공모사업, 마을축제 등을 통해 주민 역량을 키우고 주민협의체와 마을관리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기반 마련에 힘써왔다.방 시장은 “앞으로는 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사후관리와 주민 주도 운영체계를 강화하겠다”며 “거점시설이 단순 공간이 아니라 지역경제와 사회적 경제의 중심이 되도록 하고 디지털과 정책 융합 등 맞춤형 과제 발굴에도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


#도시지역혁신 #도시지역혁신산업박람회 #2025도시지역혁신 #2025도시지역혁신산업박람회 #도시혁신 #지역혁신 #도시산업박람회 #대한민국도시박람회 #2025도시박람회 #대한민국도시산업박람회 #삼척도시박람회 #삼척박람회 #삼척정라지구 #정라지구 #도시재생박람회 #도시재생 #지속가능한도시 #도시의미래 #미래도시 #도시정책 #도시정책박람회 #도시정책공유 #도시기술 #스마트도시 #스마트시티 #스마트도시정책 #스마트기술 #도시산업 #혁신산업 #혁신기술 #혁신도시 #혁신정책 #도시문제해결 #도시문제 #지역활성화 #지역경제 #지역상생 #도시협력 #민관협력 #산학협력 #공공민간협력 #네트워킹 #도시네트워킹 #정책네트워킹 #비즈니스박람회 #도시비즈니스 #산업비즈니스 #기술비즈니스 #도시개발 #도시계획 #도시건축 #도시환경 #도시인프라 #생활SOC #도시데이터 #프롭테크 #프롭테크박람회 #부동산산업 #도시건설 #건설산업 #전문건설 #국토교통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시재생산업진흥협회 #연합뉴스 #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부동산원 #한국프롭테크포럼 #대한전문건설협회 #첨단기술안전점검협회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도시혁신네트워크 #도시혁신사례 #도시혁신기술 #도시혁신정책 #도시혁신트렌드 #도시혁신정보 #국제도시박람회 #도시국제교류 #도시경쟁력 #도시브랜딩 #도시미래전략 #도시연구 #도시전문가 #도시산업혁신 #도시산업전시
제목